
.png)
우리가 생활하는 집, 사업장의 어디엔가에는 항상 해충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어디에서 어떤 해충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이 해충들은 어떤 문제들을 일으키고 있을까요?

모기(mosquito)
산란기의 암컷에 한해 흡혈활동을 하며 일본뇌염 등 전염병의 매개체가 됩니다.
사전 방제활동 가장 중요한 해충입니다.
나방파리 (mothfly)
주로 배수관에 알을 낳고 번식합니다. 천식, 알레르기를 유발합니다.
개미 (ant)
군체생활을 하는 대표적인 위생해충입니다. 사업장과 가정집에도 모두 볼 수 있으며 천식, 피부병 등을 유발합니다.
바퀴(Roach)
국내에는 4-5종이 있으며 각종 병원균의 대표적인 매개체입니다. 2마리가 1년에 수천마리까지 번식합니다.
쥐 (rat)
건물 내부의 전선을 갉아 누전을 일으키거나 식중독, 전염병 등을 옮길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해충들은 생태와 먹이원, 서식하는 장소가 각양각색입니다. 환경에 따라 혹은 건물의 특성에 따라 일순간에 나타나기도 하며, 사라지기도 합니다. 또한 한번 유입되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도 합니다.
아이피엠코리아의 전문가는 문제 해충을 종류, 서식처, 그에 따른 환경적 요인까지 고려하여 정확히 분석한 뒤 고객사에 가장 알맞는 방제 방법을 선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해충을 위한 방제 방법은 효과적이지 못합니다.이제는 해충발생 장소까지 미연에 방제하는 선제방제가 필요합니다. 단 한마디라도 보인다면 즉시 전화하세요.
.png)
.png)
애집개미의 군체에는 통상 복수의 여왕개미가 존재합니다. 여러분의 사업장이나 가정집에 애집개미 단 한마리가 보인다면 그 근처에 수 천 마리의 군체가 함께 한다고 생각하십시오.
바퀴는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유충과 성충이 유사한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업장에 바퀴의 유충이 보인다면 이미 상당수의 성충이 존재한다는 뜻 입니다.
바퀴와 개미는 "군체"를 이루는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숨어사는 해충들을 일일히 찾아서 잡는 다는 것인 불가능한 일이죠.
따라서 해충들이 스스로 약제를 먹고 치사할 수 있도록 유인제를 첨가한 약제를 투약합니다. 방제 초기와(1~4개월) 그후에 사용하는 각각의 약제의 성분, 사용량, 투약지점을 달리하는 것이 방제회사의 역량이고 경험입니다.
.png)
파리는 사람이 사는 대부분의 장소에 서식합니다. 쓰레기 더미, 유기물 등에 산란할 수 있으며 빈식(자주먹음), 빈변(자주쌈)의 습성으로 인해 병원균을 옮기는 대표적인 위생해충입니다.
모기는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이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년에 모기로 인한 사망은 평균 725,000명에 달합니다(W.H.O통계)
건물의 지하실, 집수정, 웅덩이 등에서 발생되며 특히 장마철 이후 가장 극성을 부립니다. 이 시기 모기 유충제어와 방제 시기를 놓치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png)
비래해충은 공간을 날아다니는 특성상 살충제 투약으로 인한 제거가 매우 어려운 해충입니다.
이런 해충들은 일반적인 스프레이로 "좁은 면적"을 타켓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닌 공간에 살충제를 살포해야 합니다(ULV 미스팅). 이 작업은 작업자의 호흡기나 신체로 살충제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보호장비와 보호구를 완벽히 착용한 전문가가 진행합니다.
수서곤충에 해당하는 비래해충의 유충들은 일반적인 살충제를 투약할 수 없습니다(상하수도법 위반이죠).
따라서 유충만을 구제할수 있는 유충구제제(미생물제제)를 투약하여 구제합니다. 비래해충의 유충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3~9월이 유충구제제를 사용하기에 적기입니다. 이 시기에 유충구제제 투약이 이루어진다면 하절기 비래해충 제어에 큰 도움이 됩니다..
사업장 내부에 존재하는 비래해충을 어떻게하면 잡을 수 있을까요? 우리 사업장은 식당인데요? 살충제를 뿌릴수 없어요!
업장 내부에 존재하는 비래해충을 잡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포충등 운영입니다. 포충등은 비래해충을 유인하여 끈끈이에 붙게 만듭니다.
참, 사업장 내부에 전기충격식 살충기를 설치하시면 안됩니다. 전기충격이 가해지는 순간 비래해충의 사체가 사방으로 비산되어 여러분의 음식에 들어갈테니까요.
.png)
초박형의 LED포충등으로 포충등이라는 느낌은 전혀 없습니다. 인테리어에 민감한 호텔, 카페, 고급 레스토랑에 가장 어울리는 포충등입니다.
비래해충 대량 포집애 최적화된 포충등인 코브라는 유럽 시장에서 베스트셀링 제품입니다. 가장 강력한 포집력으로 대량 포집이 필요한 식품공장, 대형 레스토랑에 적합합니다.

저곡해충은 각종 곡물, 견과류에 위해를 가하는 해충입니다. 이런 해충에 대한 방제 시 가장 중요한 점은 원재료에 위해를 가하지 않고 구제를 해야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저곡해충 구제 시에는 가급적 일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곡해충 컨트롤의 첫번째는 환경적인 개선입니다. 대부분 저곡해충들은 고온, 혹은 저온에 취약합니다. 번식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온도관리는 필수입니다.
두번째는 성장조절제 투약입니다. 일반적인 살충제와 달리 원재료에 위해를 가하지 않고 해충의 성장주기를 파괴합니다.
마지막으로 저곡해충용 페로몬 루어 트랩을 설치하여 교미를 방해하거나 직접 포획을 진해합니다.
베이트 시스템을 통해서 해충을 퇴치한다고 해도 최소한으로 남아있는 해충이 존재할 수 있겠죠. 살충분무를 통해 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살충제는 신경독으로써 해충의 기공 내로 흡입되어 해충을 치사시킵니다. 또한 잔여 살충성분으로 해충의 기피효과(해충이 살충제를 투약한 표면을 기피함)를 누릴 수 있습니다.
